교황 첼레스티노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첼레스티노 3세는 1191년부터 1198년까지 재위한 인물이다. 로마 출신으로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고, 튜턴 기사단을 기사 수도회로 인가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그는 레온의 알폰소 9세의 근친혼과 관련하여 파문 조치를 취하고,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의 이혼 문제에 개입하는 등 정치적 문제에도 관여했다. 첼레스티노 3세는 덴마크 왕자들 간의 불화를 중재하고, 1198년 사망 직전 교황직 사임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06년 출생 - 정중부
정중부는 고려 시대 무신으로, 이의방 등과 무신정변을 일으켜 무신정권 시대를 열었으나 부패와 사치로 민심을 잃고 경대승의 쿠데타로 처형된 인물이다. - 1106년 출생 - 신제이
신제이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관료이자 학자로, 호겐의 난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휘둘렀으나, 권력 남용으로 반발을 사 헤이지의 난 때 암살당했다. - 1198년 사망 - 만적
고려 신종 때 최충헌의 노비 만적은 1198년 신분 해방을 주장하며 봉기를 모의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고려 사회의 신분 질서에 대한 저항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자 한국 역사상 최초의 신분 해방 운동으로 평가받는다. - 1198년 사망 - 구기에르무 3세
구이에르모 3세는 1194년 잠시 시칠리아 왕국의 왕이었으나, 하인리히 6세의 침공으로 왕위를 잃고 투옥되어 생을 마감했다. - 오르시니가 - 클라리체 오르시니
클라리체 오르시니는 1469년 로렌초 데 메디치와 정략 결혼하여 메디치 가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종교적 신념으로 인문주의자들과 갈등을 겪었지만 남편과의 관계는 좋았고, 10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TV 드라마에도 등장한다. - 오르시니가 - 교황 베네딕토 13세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24년부터 1730년까지 재위했으며, 얀센파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스페인 계단을 완공했으나, 교황청 재정 악화와 얀센주의와의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교황 첼레스티노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첼레스티노 3세 |
본명 | 자친토 보보네 |
직책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재임 시작 | 1191년 3월 30일 |
재임 종료 | 1198년 1월 8일 |
선임자 | 클레멘스 3세 |
후임자 | 인노첸시오 3세 |
서품 | 1191년 4월 13일 |
축성 | 1191년 4월 14일 |
축성자 | 오타비아노 디 파올리 |
추기경 임명 | 1144년 2월 |
추기경 임명자 | 첼레스티노 2세 |
출생일 | 기원후 1105년경 |
출생지 | 교황령 로마 |
사망일 | 1198년 1월 8일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이전 직책 |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성당 추기경 (1144–1191) |
모토 | Perfice gressus meos in semitis tuis ("당신의 길에서 내 발걸음을 완전하게 하소서") |
서명 | CelestinusIIItitel.jpg |
서품 정보 | |
사제 서품 | 알 수 없음 |
부제 서품 | 알 수 없음 |
축성자 | 오타비아노 디 파올리 |
축성일 | 1191년 4월 14일 |
축성 장소 | 로마, 교황령 |
추기경 임명자 | 첼레스티노 2세 |
추기경 임명일 | 1144년 2월 |
주교 임명 정보 | |
주교 1 | 마르틴 로페스 데 피수에르가 |
주교 1 축성일 | 1192년 6월 6일 |
주교 2 | 마르티뉴 피레스 |
주교 2 축성일 | 1189년 |
주교 3 | 필립 드 푸아투 |
주교 3 축성일 | 1197년 4월 20일 |
2. 교황 선출 이전
로마의 우르시니 가문 일족으로 태어난 그는,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에는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이었다.[13] 스페인 전문가로, 1154~1155년, 1172~1175년 두 차례에 걸쳐 교황 특사로 파견되었다.[14] 1144년 첼레스티노 2세 또는 루치오 2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첼레스티노 3세는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신성 로마 제국, 프랑스, 이베리아 반도 국가들, 덴마크 등 여러 지역의 정치적 문제에 개입하여 교황의 권위를 행사하려 했다.
교황이 되기 전, 프랑스 파리에서 신학자 피에르 아벨라르의 문하에서 배웠고, 1140년 Councils of Sens|상스 공의회영어에서 스승을 변호했지만 실패했다. 1144년 아벨라르의 제자였던 교황 켈레스티노 2세에 의해 부제급 추기경으로 서임되어 이후 47년간 교황청에서 근무했다. 알렉산데르 3세 밑에서 교황 사절로서 외교 수완을 발휘했으며, 알렉산데르 3세와 신성 로마 황제프리드리히 1세의 다툼,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와 캔터베리 대주교 토머스 베켓의 대립에서 타협적인 정책을 주도했다. 레콩키스타에도 관여하여, 1172년 무와히드 왕조 아미르 아부 야쿠브 유수프 1세의 군대가 우에테를 포위하자, 우에테를 구원하러 참전하는 자에게 면죄를 약속하고 구원군을 모은 카스티야 왕 알폰소 8세를 지원했다.[3][4]
3. 교황 재위 기간
1198년에는 튜턴 기사단을 기사 수도회로 공식 인가하였다.[18]
3. 1.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하인리히 6세와 로마 시민들은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첼레스티노 3세는 하인리히 6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고 로마 시민들에게는 그들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투스쿨룸의 요새를 파괴하도록 허락하였다. 같은 해 말엽에 그는 시칠리아의 탄크레드에게 그의 숙모인 콘스탄체를 석방하지 않으면 파문하겠다고 경고하였다. 콘스탄체는 하인리히 6세의 아내로 시칠리아 왕위 계승권을 갖고 있었으나 탄크레드에 의해 감금당했다. 탄크레드는 포로 교환을 하기 위해 콘스탄체를 데리고 로마로 길을 떠났다. 그는 하인리히 6세에게 자신을 건드리지 말라고 협박했지만, 콘스탄체는 로마에 당도하기 전에 교황령 국경에 있던 독일인 병사들에 의해 풀려났다.[15] 이후 탄크레드는 파문되기 일보 직전에 몰렸으나 마침 하인리히 6세도 똑같이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부당하게 감금하는 일이 일어났다.[15] 하인리히 6세는 피사에 머무는 동안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성사 참여를 금지당했으나 1198년 후임 교황인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처벌 조치가 해제되었다.[16]
첼레스티노 3세는 1191년 3월 30일에 교황으로 선출되었을 때 이미 85세의 고령이었고, 부제 신분이었기 때문에 4월 13일에 급히 사제로 서품되었고, 다음 날인 4월 14일에 교황으로 성별되었다.[5] 4월 15일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에게 대관식을 거행하여 그 권위를 나타냈다.[7] 그러나 노령과 온화한 성격 탓에 하인리히 6세가 시칠리아 왕국을 정복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1193년에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를 부당하게 투옥한 죄로 하인리히 6세를 파문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추기경단의 반대로 실행하지 못했다.[6] 이듬해인 1194년에 하인리히 6세와 화해하여 리처드 1세의 석방을 도왔지만, 황제의 시칠리아 재정복은 묵인하고 황제가 십자군 파병을 약속했을 때는 주저하는 모습을 보여 황제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3. 2. 이베리아 반도 문제 개입
첼레스티노 3세는 레콩키스타가 지지부진하던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국가들에 자주 간섭했다. 레콩키스타의 중심 인물인 알폰소 8세를 꾸준히 지지했으며, 1192년에는 기독교 국가들에게 휴전을 호소하여 카스티야를 아라곤, 레온과 화해시켰다. 성 요한 기사단에게는 무와히드 왕조와의 전투를 명령하기도 했다.[8]
그러나 카스티야와의 전쟁을 멈추지 않는 레온 왕 알폰소 9세와 나바라 왕 산초 7세에게는 경고를 보냈다. 1196년에는 알폰소 9세를 파문하고 신하들의 복종 의무를 해제한다고 선언했으며, 산초 7세를 알폰소 8세 지지로 돌려놓았다. 1197년 4월에는 알폰소 9세와 싸우는 자에게 면죄를 주는 것까지 선언하여, 알폰소 9세를 카스티야와의 화해로 이끌어 기독교 국가들 간의 갈등을 수습했다.[8]
또한, 첼레스티노 3세는 1196년에 알폰소 9세와 왕비 테레사의 혼인을 무효로 했다. 한편, 1197년에 화해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알폰소 9세와 카스티야 공주 베렌겔라의 재혼에는 관여하지 않았다.[8]
첼레스티노 3세는 레온의 알폰소 9세가 혈연 관계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혼인하자 이를 질책하였다. 1196년 알폰소 9세가 카스티야에서 무슬림들과 전쟁하던 중에 평화 관계를 맺자 또 한 번 질책하였다. 알폰소 9세가 카스티야의 베렌가리아와 두 번째 혼인을 하자 첼레스티노 3세는 결국 알폰소 9세를 파문하고 레온 왕국 전역에 성무 금지 조치를 취하였다.[17]
3. 3.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와의 갈등
첼레스티노 3세는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의 이혼 문제에 개입하였다. 필리프 2세가 왕비 잉게보르그와 일방적으로 이혼을 선언하자, 잉게보르그는 교황에게 호소하였다. 1196년 3월 13일, 첼레스티노 3세는 필리프 2세에게 훈계를 내리고 잉게보르그가 살아있는 동안 다른 결혼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필리프 2세는 잉게보르그를 버리고 그해 6월에 아녜스 드 멜라니와 결혼했지만, 교황의 훈계로 이 결혼은 무효가 되었다. 첼레스티노 3세는 여러 차례 주의를 주었으나 필리프 2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후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1199년에 필리프 2세를 파문하고 성무 정지 명령을 내렸다.[9]
3. 4. 덴마크 문제 개입
첼레스티노 3세는 1192년에 덴마크 왕자들 사이의 불화를 해결하기 위해 성 로렌초의 추기경 사제 친티우스를 덴마크로 보냈다.[15] 친티우스가 로마로 돌아오자, 첼레스티노 3세는 ''Cum Romana ecclesia'', ''Etsi sedes debeat'', ''Quanto magnitudinem tuam'' 세 개의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15] 이 칙서들은 룬의 대주교 압살론에게 덴마크 왕에게 슐레스비히 주교를 석방하라고 지시하도록 권고했다.[15] 또한 이 칙서들은 슐레스비히 주교를 감금한 공작 발데마르를 파문하고 덴마크 왕국을 교황령 금지령에 처하겠다고 위협했다.[15] 이 주교는 인노첸시오 3세 교황이 1203년에 절차를 재개할 때까지 투옥된 상태로 있었다.[15]
3. 5. 기타 업적
첼레스티노 3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에게 대관식을 거행하고, 투스쿨룸 요새 파괴를 허락하는 등 외교적 업적을 남겼다.[15] 시칠리아 왕국의 탄크레드에게 콘스탄체를 석방하라고 경고했고, 이에 응하지 않자 파문 직전까지 몰고 갔다.[15] 그러나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부당하게 감금한 하인리히 6세에게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며 균형을 맞추려 했다.[15]
레온 왕국의 알폰소 9세가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혈연 관계임에도 혼인하자 이를 질책했고, 1196년에는 알폰소 9세가 무슬림과 평화 관계를 맺자 다시 한번 질책했다.[17] 결국 알폰소 9세를 파문하고 레온 왕국에 성무 금지 조치를 내렸다.[17]
1198년에는 튜턴 기사단을 기사 수도회로 공식 인가하였다.[18]
4. 죽음
베네딕도회의 조반니 디 산 파올로 추기경을 자신의 후임자로 추천하고 교황직을 사임하려고 했으나,[19] 추기경들이 이에 동의하지 않아 무위에 그쳤다.[20] 1197년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하고, 그 뒤를 따르듯 병에 걸린 첼레스티노 3세는 죽기 직전에 교황직을 사임하고 후계자를 지명하려 했지만, 이 안은 추기경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다음 해인 1198년 1월 8일에 로마에서 사망했고, 인노첸시오 3세가 다음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유해는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 매장되었다.[10]
5. 평가
첼레스티노 3세는 교황 재임 기간 동안 여러 면에서 우유부단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시칠리아를 정복하는 것을 막지 못했고,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를 투옥한 죄로 하인리히 6세를 파문했지만, 곧 화해하여 리처드 1세의 석방을 도왔다. 그러나 황제의 시칠리아 재정복은 묵인하고, 십자군 파병 약속을 믿고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여 비판을 받았다.[5][6][7]
이베리아 반도의 레콩키스타 과정에서는 기독교 국가들 간의 분쟁에 개입하여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카스티야 왕 알폰소 8세를 지지하며, 레온 왕 알폰소 9세와 나바라 왕 산초 7세에게 경고를 보내고, 알폰소 9세를 파문하기도 했다. 결국 알폰소 9세를 카스티야와 화해시켜 기독교 국가 간의 갈등을 수습했다.[8]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의 이혼 문제에도 관여하여, 왕비 잉게보르그의 편을 들어 필리프 2세에게 훈계를 내리고 이혼을 무효화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 문제는 후임 교황 인노첸시오 3세 때까지 이어졌다.[9]
첼레스티노 3세는 독일 기사단, 템플 기사단, 성 요한 기사단을 인가하여 로마 교회에 공헌했다는 평가도 받는다.[10]
참조
[1]
서적
Chronica Magistri Rogeri de Houedene
London
1871
[2]
서적
Die Designation der Nachfolger durch die Päpste
Freiburg Switzerland: B. Veith
1892
[3]
서적
キリスト教人名辞典
[4]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編纂委員会
[5]
서적
キリスト教人名辞典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4
[12]
웹사이트
http://www2.fiu.edu/[...]
[13]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14]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15]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from the first to the fifteenth century
Eliott Stock
1885
[16]
서적
The interdict in the thirteenth century: a question of collective guilt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7
[17]
서적
Pope Innocent III (1160/61–1216): to root up and to plant
Brill Publishers
2003
[18]
서적
The Teutonic Knights
Greenhill Books
2003
[19]
서적
Chronica Magistri Rogeri de Houedene
London
1871
[20]
서적
Die Designation deer Nachfolder durch die Päpste
Freiburg Switzerland: B. Veith
18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